연간교육안내
2025년 서울시농업기술센터 연간교육계획을 알려드립니다.
*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5년 농업기술교육 일정표 이미지 설명
계획인원 총32개과정 27,898명(862회)
교육과정명 : 지속가능 시민농업 활성화
2025년 계획 : 횟수 635회, 인원 21,628명
- 치유농업 보급 확대 : 2025년 계획(횟수 438회, 인원 9,358명)
- 1. 맞춤형 치유프로그램
2025년 계획 : 횟수 158회, 인원 2,370명
2025년 일정 : 4월1주부터 7월1주까지, 8월3주부터 11월4주까지
- 2. 스마트농장형 치유프로그램
2025년 계획 : 횟수 110회, 인원 3,750명
2025년 일정 : 1월2주부터 6월4주까지
- 3. 보급형 치유프로그램 운영지원
2025년 계획 : 횟수 104회, 인원 1,248명
2025년 일정 : 4월1주부터 11월 4주까지
- 4. 치유농업사 양성과정
2025년 계획 : 횟수 1회, 인원 40명
2025년 일정 : 4월4주부터 7월4주까지
- 5. 치유농업사 현장실무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5회, 인원 150명
2025년 일정 : 5월3주부터 10월4주까지
- 6. 어린이자연체험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40회, 인원 1,200명
2025년 일정 : 4월3주부터 7월1주까지. 8월1주부터 11월1주까지
- 7. 찾아가는 반려식물 병원 운영
2025년 계획 : 횟수 20회, 인원 600명
2025년 일정 : 4월2주부터 6월 1주까지. 8월4주부터 10월4주까지
- 학교텃밭 원예 프로그램 지원 : 2025년 계획(횟수 90회, 인원 5,400명)
- 8. 동행매력 학교정원 프로그램 운영
2025년 계획 : 횟수 90회, 인원 5,400명
2025년 일정 : 3월4주부터 7월2주까지. 8월3주부터 12월1주까지
- 함께하는 원예활동 교육 : 2025년 계획(횟수 107회, 인원 6,870명)
- 9. 함께 그린 텃밭교실
2025년 계획 : 횟수 40회, 인원 5,000명
2025년 일정 : 3월1주부터 11월4주까지
- 10. 동행매력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1기, 인원 30명
2025년 일정 : 5월2주부터 6월3주까지
- 11. 스마트팜 실용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1기, 인원 40명
2025년 일정 : 4월2주부터 4월4주까지
- 12. 약자를 위한 어울림 텃밭정원
2025년 계획 : 횟수 50회, 인원 1,200명
2025년 일정 : 4월1주부터 6월1주까지, 8월3주부터 11월2주까지
- 13. 반려식물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15회, 인원 600명
2025년 일정 : 3월1주부터 11월 4주까지
교육과정명 : 친환경 전문농업 활성화
2025년 계획 : 횟수 96회, 인원 2,630명
- 농업 신기술 보급 교육 : 2025년 계획(횟수 35회, 인원 1,410명)
- 14. 친환경신기술 보급 교육(사전교육 등)
2025년 계획 : 횟수 5회, 인원 210명
2025년 일정 : 3월1주부터 11월4주까지
- 15. 힐링농장 체험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30회, 인원 1,200명
2025년 일정 : 5월2주부터 5월4주까지. 10월1주부터 10월3주까지
- 곤충산업 활성화 기반조성 : 2025년 계획(횟수 61회, 인원 1,220명)
- 16. 곤충산업 전문인력 양성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1기, 인원 20명
2025년 일정 : 5월1주부터 7월4주까지
- 17. 찾아가는 곤충교실
2025년 계획 : 횟수 60회, 인원 1,200명
2025년 일정 : 4월4주부터 5월4주까지
교육과정명 : 농업 전문인력 양성
2025년 계획 : 횟수 121회, 인원 3,640명
- 예비농업인 기초영농교육 : 2025년 계획(횟수 11회, 인원 400명)
- 18. 예비농업인 기초영농기술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2기, 인원 50명
2025년 일정 : 3월2주부터 7월2주까지
- 19. 전원생활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8기, 인원 320명
2025년 일정 : 3월3주부터 6월4주까지. 9월1주부터 9월4주까지
- 20. 양봉전문가 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1기, 인원 30명
2025년 일정 : 4월1주부터 10월4주까지
- 농업인 교육 : 2025년 계획(횟수 31회, 인원 760명)
- 21. 농업기술 전문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17회, 인원 500명
2025년 일정 : 1월3주부터 11월4주까지
- 22. 농업인 안전실천 역량강화 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8회, 인원 160명
2025년 일정 : 2월1주부터 11월4주까지
- 23. 농업기계 안전사용 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6회, 인원 100명
2025년 일정 : 3월3주, 4월1주. 5월1주. 8월2주, 9월1주, 9월3주
- 농업학습단체 육성(4개과정) : 2025년 계획(횟수 53회, 인원 1,520명)
- 전통음식 및 농산물 이용 교육 : 2025년 계획(횟수 36회, 인원 960명)
- 28. 전통우리음식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12회, 인원 360명
2025년 일정 : 2월1주부터 11월4주까지
- 29. 치유음식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6회, 인원 150명
2025년 일정 : 4월1주부터 8월4주까지
- 30. 제철농산물 이용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6회, 인원 180명
2025년 일정 : 4월1주부터 11월4주까지
- 31. 1인가구 생활요리 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6회, 인원 120명
2025년 일정 : 4월1주부터 10월4주까지
- 32. 우리 쌀 이용 식품가공 기술교육
2025년 계획 : 횟수 6회, 인원 150명
2025년 일정 : 4월1주부터 11월4주까지
1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 교육 (치유농업팀, 6959-9350)
-
- 2급 치유농업사 양성교육: 1기 40명(4~7월)
- 교육대상: 서울시민 ※ 142시간(이론 94시간, 실습 48시간)
- 교육내용: 치유농업과 치유농업 서비스의 이해, 운영과 관리 등
- 치유농업사 현장실무 교육: 5회 150명(5~10월)
- 교육대상: 치유농업사 양성 교육 수료자
- 교육내용: 치유농업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 및 치유농장 운영실습 등
- 치유농업팀(6959-9350)
2학교텃밭 원예프로그램 운영·지원 (시민교육팀, 6959-9354)
-
- 동행매력 학교정원프로그램 운영 및 농자재 지원: 300개
- 농업 농촌프로그램 현장 확산 기술지원: 30학급
- 미래세대 대상 ‘키드키드팜’ 조성 및 농업체험 콘텐츠 적용 시범: 1개교
- 시민교육팀(6959-9356)
3함께하는 원예활동 교육 (시민교육팀, 6959-9354)
-
- 함께 그린 텃밭교실(3월~ 11월): 40회 5,000명
- 채소(엽채류, 과채류) 재배기술, 병해충 친환경 방제법, 토양 관리 등 도시농업 실천기술 현장 교육
- 자치구와 협력 추진(시민과 인접한 교육장소 활용)
- 반려식물 교육: 15회 600명
- 가정에서 실천 가능한 생활 속 원예체험 등 생활원예(꽃누르미, 약용식물, 천연염색, 다육식물 등) 교육
- 동행매력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5~6월): 1기 30명
- 스마트팜 실용교육(4월): 1회 40명
- 디지털농업 현황 및 사례, 시설재배의 이해 및 환경제어, 환경 관리의 실제 및 현장적용 사례 등
- 약자를 위한 어울림 텃밭정원 프로그램 운영: 50회 1,200명
- 사회복지시설 등 대상으로 작물 재배 및 체험 교육
- 힐링농업체험 프로그램 운영(강서구 과해동): 30회 1,200명
- 대 상: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등학생 단체
- 교육내용: 농촌자연생활 및 녹색식생활 체험, 서울 브랜드 농산물 수확하기 등
- 환경농업팀(6959-9362)
- 어린이 자연체험교육 운영(서초구 내곡동): 40회 1,200명
- 대 상: 초등학생 및 가족
- 교육내용: 시민자연학습장 견학 및 농작물 관찰, 농업자원활용 공예체험 등
- 치유농업팀(6959-9371)
4전통음식·농산물이용 교육 (인재육성팀, 6959-9369)
-
- 전통 우리음식교육: 12회 360명(2~11월)
- 제철농산물 이용교육: 6회 180명(3~11월)
- 치유음식 교육: 6회 150명(4~8월)
- 우리 쌀 이용 식품가공 기술교육: 6회 150명(4~11월)
- 우리 쌀 이용 전문교육(영양(교)사, 급식관계관)
- 다양한 우리 쌀 활용교육(시민,생활개선회원)
- 1인 가구 생활요리 교육: 6회 120명(4~10월)
5곤충활용 및 곤충산업 전문인력 양성 교육 (환경농업팀, 6959-9362)
-
- 찾아가는 곤충교실(초등학교 3학년): 60회 1,200명(4~5월)
- 교육내용: 초등3학년 정규 교과과정 「동물의 한살이」와 연계한 곤충 관찰·체험
- 지원사항: 배추흰나비 관찰키트, 관찰 워크북, 곤충 강사
- 곤충산업 전문인력 양성교육: 1기 20명(5~7월, 100시간)
- 사업대상: 관내 곤충산업 관련 종사자·창업희망자·서울시민 등
- 교육내용: 곤충산업의 동향·정책, 곤충 사육방법, 곤충관련 실습 및 견학 등
- 환경농업팀(6959-9362)
6예비농업인 영농교육 (역량개발팀, 6959-9367)
7농업인 교육 (역량개발팀, 6959-9366)
-
- 농업기술전문교육 : 17회 500명(1~ 11월)
- 농업인 안전실천 역량강화 교육 : 8회 160명
- 농업기계 안전사용 교육: 6회 100명(3~5월, 8~10월)
- 역량개발팀(6959-9366)
8농업인 학습단체 육성
-
- 농업지도자 핵심 리더 육성
- 역량강화교육(농업 특강 등) ➟ 3회 240명(5~10월)
- 후계농업경영인 역량강화 교육: 1회 20명(8월)
- 4-H회 청소년 교육(현장체험,문화행사,경진대회): 47회 1,200명(4~11월)
- 생활개선회 과제교육: 2회 60명(4~10월)
- 인재육성팀(459-6754)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