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
실내·외 작업장에서의 폭염 노출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폭염 속 농작업, 나와 동료를 지키는 방법
친천히 적응해 가며 작업하기: 온열질환자의 다수가 폭염시 농작업을 시작된 첫 날에 발생!!
- 폭염기간 처음 며칠은 쉬는 시간을 자주 가지면서 천천히 일하기
- '20% 규칙' 기억하세요!!
- 휴일 후 일하는 첫날은 더위 노출을 적게하고
- 이후에는 하루에 조금씩(최대 20%까지) 일하는 시간을 늘려가세요.
- "무리하지 말고, 몸이 더위에 익숙해질 시간을 주세요!"
- 물을 자주 마셔요. 목이 마르지 않아도 20분마다 한 컵 이상 드세요.
- 그늘에서 쉬세요. 시원한 곳이나 그늘에서 자주 휴식하세요.
- 서로 살펴주세요. 힘들어 보이면 말 걸어보기, 온열질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 쉬엄쉬엄 일하세요. 더운 날엔 자주 쉬고, 무리하지 마세요.
- 시원한 옷을 입어요. 모자를 쓰고, 밝고 헐렁한 옷을 입으세요.
- 얼굴 가리개는 깨끗하게. 젖거나 더러우면 바로 교체하세요.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 아래 사항을 지켜주세요!
논/밭 등 실외 작업장
- 작업시간대 조정 또는 이에 준하는 조치
- 적절한 휴식시간 부여
비닐하우스 등 실내 작업장
- 냉방 또는 통풍을 위한 온도·습도 조절 장치 설치
- 작업시간대 조정 또는 이에 준하는 조치
- 적절한 휴식시간 부여
- 작업시간대 조정, 온도·습도 조절 장치 설치 등의 조치를 했음에도 폭염상황이 계속되면 적절한 휴식시간 부여
- 체감온도가 기상청 폭염 특보에 해당하는 33도 이상일 경우에는 매 2시간 이내 20분 이상의 휴식을 부여
주요 온열질환 증상과 응급처치
온열질환 증상
- 열탈진 - 현기증, 두통, 땀 분비, 힘이 없음, 경련, 메스꺼움·구토, 빠른 심장박동
- 열사병 - 붉고·뜨겁고·건조한 피부, 40도 이상 고열, 어지럽고 혼란스러움, 경련·경기, 기절
온열질환 응급 처치
- 즉시 119 신고
- 물이나 얼음으로 시원한 즉시 체온을 식혀 줌
-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곁에서 지키기
매일 점검 생활화!! 농업인 온열질환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작업 전 준비 단계
다음 주요내용에 대해 네/아니오 선택
- 체감온도: 당일 기온, 습도 등 여름철 체감온도를 확인했나요. (체감온도 계산기 QR링크: https://farmer.rda.go.kr/portal/menu3/temperature.do?menuId=PS03429&m_id=9000_46)
- 음용수 준비: 농업 현장에서 충분히 마실 수 있는 시원하고 깨끗한 물이 준비되었나요.
- 그늘/바람: 작업 현장 근처에 휴식 할 수 있는 그늘막/냉방장치(선풍기 등)가 있나요.
- 개인보호구: 챙이 넓은 모자와 밝은색의 헐렁한 작업복을 입었나요. ※ 보냉장비(아이스조끼, 아이스팩, 아이스 넥밴드 등)를 챙기셨나요.
- 작업시간조정: 더운 시간대(낮 12시~17시) 작업을 최소화하고 작업 일정을 조정하나요.
작업중 점검 단계
다음 주요내용에 대해 네/아니오 선택
- 물 섭취: 매 15~20분마다 적절한 물을 섭취하고 있나요.
- 휴식: 최소 1시간 작업 후 10~15분간 그늘에서 휴식하고 있나요. ※ 체감온도가 33도 이상인 경우 매 2시간 이내 20분 이상 휴식하고 있나요.
- 강도조절: 더운 날씨의 경우 작업 강도를 조정하거나 자주 교대하나요.
- 경고체계: 체감온도가 35도 이상 높아지면 경고 알림(휘슬, 방송 등)을 통해 즉각 작업 중단과 휴식을 취하도록 알렸나요.
- 작업별 휴식 조정: 장시간 농기계 운전, 밀폐된 비닐하우스 작업 등 더위 노출 작업 후 휴식을 하였나요.
- 증상 체크: 온열질환 증상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있나요. ※ 발열, 두통, 어지러움, 메스꺼움, 근육경련, 발한, 구역질, 피로감 등
작업후 관리 단계
다음 주요내용에 대해 네/아니오 선택
- 수분 보충: 작업 후에도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있나요.
- 휴식 및 회복: 작업 후에 샤워를 통해 체온을 낮추고 서늘한 환경에서 휴식을 하나요.
추가 권장사항 단계
다음 주요내용에 대해 네/아니오 선택
- 순응: 폭염 기간 처음 며칠은 짧고 가벼운 작업으로 체온 적응을 유도하나요.
※ 여러 사람이 일하는 경우, 안전관리책임자(경영주)가 위 사항을 매일 점검 바랍니다.
안전한 농작업장은 모두 “네” 입니다.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농업인안전팀 - 54875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농생명로 300 전화)063-238-1034
농업인 안전정보와 체감온도 확인은 농업인안전365 https://farmer.rda.go.kr
농업인안전 누리집 바로가기 QR코드. url) https://farmer.rda.go.kr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