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수 화상병 방지 및 병해충 감염원 제거
과수 화상병 방지를 위한 동계전정 시 주의사항
과수 화상병이 발병되면 발생된 과원에서는 나무를 매몰해야 하며, 발생된 과원은 3년간 사과와 배 등 기주식물을 재배할 수 없으며, 예방위주의 관리가 필요함
- 과수 화상병 예방을 위해서는 전정 시 전정가위, 톱, 사다리 등의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함
- 소독은 70% 알콜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락스) 20배 희석액에 10초 이상 담그거나 분무기로 골고루 살포할 것
- 적과가위나 톱 등은 재식열이 바뀔 때마다 분무하고, 대형농기구도 과원 출입 시 또는 수시로 골고루 살포하여 소독
- 전정 시에는 고사한 가지, 궤양이 있는 가지를 철저히 제거하고 전정 후에는 절단면에 전용 약제를 도포하여 2차 병 확산을 막음
-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 과원 출입 시 신발, 의복, 사다리 등 소독(특히 외부 전정사)
- 전정도구(가위, 톱)의 소독 철저(재식 열이 바뀔 때마다 소독)
- 고사 가지, 밑으로 늘어난 가지(노쇄한 가지) 및 약한 측지 위주 제거
- 표준 밀식재배에서는 솎음전정 위주로 실시하며, 절단면은 방제약제 도포 * 동계전정 시 궤양 제거 및 절단면은 약제로 도포
- 건전한 접수, 대목을 사용하여 타 품종이 섞이지 않도록 주의
- 출처불명 묘목의 식재 금지
화상병균에 감염된 모습 이미지 2컷
문의: 국립원예특작과학원(기술지원과) 063)238-6000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