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무원 사칭 물품 대리구매 피해주의보 발령

담당부서
농업기술센터농업교육과
문의
02-6959-9349
수정일
2025-08-07

최근 서울시농업기술센터 직원을 사칭하여 천막제작 의뢰하며 작업복 구매 관련하여 입금을 유도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고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사례를 접하신 분은 확인되지 않은 거래를 하지 마시고 피해사실을 경찰(112)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공무원 사칭 물품 대리구매' 피해주의보 발령

- 전국적으로 확산 중인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사칭 사기… 서울시 최소 9건(피해2, 미수7) 발생

- 가짜 명함 제작해 물품 대납·입금 유도 후 잠적…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사기 주의 당부

- 시, 공무원 사칭 사기 4대 피해예방수칙 마련, 집중 홍보 및 모니터링 강화할 것

- ①내선번호 확인 ②발신처/공문 진위 확인 ③절대 선입금 금지 ④피해 시 112 즉시 신고 당부

□ 서울시는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 중인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사칭 사기 수법이 서울시와 자치구 부서, 보건소 등을 대상으로 최소 9건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공무원 사칭 피해주의보’를 발령하고,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 해당 사기 수법은 공무원을 사칭해 업체에 물품구매를 대행해달라고 요청하고 물품 대금 명목으로 선입금을 요구한 뒤 연락을 끊는 방식이다.

○ 공무원 사칭 피해는 7월 들어 청주시, 안양시, 의정부시, 화성시, 양양군, 광명시, 횡성군 등 지방자치단체와 경기소방, 충북소방, 강원소방 등 공공기관으로까지 확산되고 있으며, 수법 또한 점점 조직적이고 정교해지고 있다.

 

□ 서울시에서는 서울시 공무원을 사칭한 피해사례 확인을 위해 긴급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소 9건의 사칭 사례가 확인되었다. 이 중 2건은 실제 금전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7건은 미수에 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서울시에서 확인된 사례들 역시 실제 공무원의 발주 요청처럼 보이도록 위조된 명함, 발주서 등을 사용해 정상적인 거래처럼 꾸민 뒤 피해업체에서 취급하지 않거나 즉시 발주가 곤란한 물품에 대해 제3의 업체로부터 대리납품하도록 유도한 후 납품대금을 계좌이체하도록 유도하는 수법이 가장 많았다.

 

□ 서울시는 시민과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공무원 사칭 사기 4대 피해예방수칙’을 마련하고, 서울시 누리집 및 중소기업중앙회, 소상공인연합회 등 유관기관을 통해 집중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 공무원 사칭 사기 4대 피해예방수칙 >

 

 

 

1. 내선번호 확인 : 명함의 내선번호가 실제 소속 기관의 것인지 서울시 누리집에서 점검

2. 발신처/공문 진위 확인 : 의심스러운 경우 해당 부서에 직접 문의

3. 절대 선입금 금지 : 공공기관은 대리구매를 통한 선입금을 요청하지 않음

4. 경찰 즉시 신고 : 피해 발생시 112 또는 관할 경찰서로 즉시 신고

□ 서울시는 앞으로도 공공기관 사칭 사기 수법의 고도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계기관과의 공조 및 시민 대상 홍보활동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 김명선 서울시 공정경제과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서울시에도 공무원을 사칭한 대리납품 피해가 실제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공무원 사칭 사기 시도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물품구매 대행이나 선입금 요구 등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연락을 받으면 거래를 즉시 중단하고 서울시 공식 채널을 통해 진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