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교육안내
2023년 서울시농업기술센터 연간교육계획을 알려드립니다.

*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 교육
-
- 2급 치유농업사 양성교육: 1기 40명(5~7월)
- 교육대상: 서울시민 ※ 142시간(이론 94시간, 실습 48시간)
- 교육내용: 치유농업과 치유농업 서비스의 이해, 운영과 관리 등
- 치유농업사 현장실무 교육: 10회 350명(4~10월)
- 교육대상: 치유농업사 양성 교육 수료자
- 교육내용: 치유농업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 및 치유농장 운영실습 등
2학교텃밭 원예프로그램 운영·지원
-
- 학교텃밭 원예프로그램 운영 및 농자재 지원: 312개교
- 중학교 자유학기제 대응 학교텃밭 활용 프로그램 시범: 1개교
- 미래세대 대상 ‘키드키드팜’ 조성 및 농업체험 콘텐츠 적용 시범: 1개교
3시민농업 실천교육
-
- 도시농부학교(3월~ 11월): 40회 5,000명
- 채소(엽채류, 과채류) 재배기술, 병해충 친환경 방제법, 토양 관리 등 도시농업 실천기술 현장 교육
- 자치구와 협력 추진(시민과 인접한 교육장소 활용)
- 비대면 농업교실(3월~ 11월): 10회 500명
- 공기정화 기능이 우수한 식물을 활용한 식물액자, 수경재배, 테라리움, 화훼장식품 만들기 등 교육과정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줌) 추진
- 원예활동 생활화 교육: 20회 700명
- 가정에서 실천 가능한 생활 속 원예체험 등 생활원예(꽃누르미, 약용식물, 천연염색, 다육식물 등) 교육
- 서울농업체험 그린투어(5월~ 10월): 10회 300명
- 관내 우수 농장(벼·블루베리·분재·약용식물·배 등) 및 도시농업 현장 투어, 농업체험 활동 및 농산물 직거래 등
-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3~4월, 8~9월): 2기 60명
- 도시농업전문가 과제교육(2월 3회, 6월, 11월): 5회 400명
-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 수료자 대상 도시농업 실천기술 등 과제교육으로 전문역량 강화
- 디지털농업 전문기술 교육(5월): 1회 40명
- 디지털농업 현황 및 사례, 시설재배의 이해 및 환경제어, 환경 관리의 실제 및 현장적용 사례 등
- 복지형 텃밭 체험 프로그램 운영: 50회 1,000명
- 사회복지시설 등 대상으로 작물 재배 및 체험 교육
- 힐링농업체험 프로그램 운영(강서구 과해동): 30회 1,200명
- 대 상: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등학생 단체
- 교육내용: 농촌자연생활 및 녹색식생활 체험, 서울 브랜드 농산물 수확하기 등
- 어린이 자연체험교육 운영(서초구 내곡동): 20회 1,000명
- 대 상: 초등학생 및 가족
- 교육내용: 시민자연학습장 견학 및 농작물 관찰, 농업자원활용 공예체험 등
4전통음식·농산물이용 교육
- 전통 우리음식교육: 12회 630명(2~10월)
- 대단위 시연교육 : 6회 540명, 소그룹 실습교육 : 6회 90명
- 제철농산물 이용교육: 6회 540명(3~10월)
- 치유음식 교육: 6회 150명(4~6월)
- 우리 쌀 이용 식품가공 기술교육: 6회 210명(4~10월)
- 우리 쌀 이용 전문교육(영양(교)사, 급식관계관) ➟ 4회 120명
- 다양한 우리 쌀 활용교육(시민,생활개선회원) ➟ 2회 90명
- 1인 가구 생활요리 교육: 6회 390명(3~10월)
5곤충활용 및 곤충산업 전문인력 양성 교육
6예비농업인 영농교육
- 예비농업인 기초영농기술교육: 2기 50명(3~7월)
- 영농기술이론, 현장실습 및 체험학습(농작업 및 재배실습 등)
- · 종합반(12일간, 60시간) : 1기 30명
- · 실습반(11일간, 50시간) : 1기 20명
- 전원생활교육: 8기 320명(3~9월)
- 전원생활 준비하기, 기초영농기술, 농작업실습(6시간/일)
- 신규농업인 현장실습교육: 1명(5개월, 160시간/월)
7농업인 교육
- 농업기술 전문교육: 18회 660명(1~12월)
- 새해농업인 실용교육(채소, 화훼, 과수, 벼): 6회 300명
- 친환경품목 기술교육: 6회 120명
- 생활문화교육: 6회 240명
- 강소농 역량강화 교육: 13회 260명(2~10월)
- 품목농업인연구회 교육: 5회 150명(3~12월)
- 농업기계 안전사용 교육: 3회 50명(4~9월)
- 청년농업인 경영진단 분석·컨설팅: 2명(5~7월)
- 청년농업인의 영농기술과 경영상태 진단·분석 및 컨설팅(현장코칭)교육
8농업인 학습단체 육성
- 교육계획
- 농업지도자 핵심 리더 육성
- 역량강화교육(농업 특강 등) ➟ 3회 240명(5~10월)
- 후계농업경영인 역량강화 교육: 1회 20명(8월)
- 우수4-H회원 및 지도교사 교육: 31회 520명(4~11월)
- 4-H회 청소년 교육(현장체험,문화행사,경진대회): 33회 1,200명(4~11월)
- 생활개선회 과제교육 및 지도자양성교육: 6회 140명(4~10월)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