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욱-
명칭
이름: 아욱
과명: 아욱과
학명: Malva verticillata L.
영명: Cluster Mallow
중국명: 露葵
일본명: フユアオイ
원산지 및 내력
원산지는 중국을 중심으로 북부 온대에서부터 아열대로 추정되며 아시아 및 유럽 남부에서 오래 전부터 약초로 재배되어 왔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이전에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적 특성
- 잎
높이는 약 60~90cm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원형에 가깝고 5~7개로 얕게 장상(掌狀)으로 갈라지며 5~7개의 주맥이 있고 열편은 넓고 짧으며 둔두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 꽃
봄철부터 가을철까지 잎겨드랑이에 꽃자루가 있는 연한 분홍색 꽃이 모여 달리며 작은포는 3개이고 넓은 선형이다. 꽃받침은 5열하며 열편은 넓은 삼각형이고 꽃잎은 5개이며 끝이 파진다. 한몸수술의 대는 짧고 백색의 수술대는 사상(絲狀)으로 10개이며 심피는 바퀴모양으로 배열된다.
- 열매
삭과는 둥글납작하며 꽃받침에 싸여 있고 심피는 접촉면과 엽축이 떨어지며 털이 없고 담갈색이며 8-9월에 익는다. 종자를 동규자라 한다.
- 줄기
곧게 서며 원뿔모양으로 녹색이다.
생리 생태적 특성 및 재배기술
아욱과에 속하는 1년초로서 포기 전체에 거친 털이 있다. 햇빛이 많이 드는 습한 땅을 좋아하고 칼슘 성분이 특히 많아 훌륭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꽃이 봄부터 가을까지 피지만, 성화기인 6~7월을 피하여 재배한다.
어린 잎과 줄기를 이용하므로 년중 파종 및 수확이 가능하다. 여름과 겨울철 재배도 가능하므로 단경기 경제작물로 활용할 수 있다.
병해충 방제
진딧물, 나방류 유충
수확
더운 시기 수확할 경우 새벽이나 저녁에 하여 위조를 방지한다. 또 개화성기가 6~7월이므로 이 시기가 오기 전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
식품적 가치 및 효능
아욱은 중국에서 ‘채소의 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영양이 매우 풍부한 채소다. 특히 칼슘이 풍부하여 성장기 아이들 발육에 이롭고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변비 해소에 효과적이다. 단백질, 칼슘 함유량이 시금치보다 2배 이상 높아 성장기 아이들의 뼈 건강과 신장 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다.
비타민A, C가 풍부하여 단백질, 비타민B가 풍부한 새우와 함께 섭취하면 서로 부족한 영양을 채울 수 있다. 된장국, 나물 무침, 쌈밥으로 활용된다.
* 더 자세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사로,또는 농업과학도서관에서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서울시 정책에 대한 신고·제안·건의 등은
응답소 누리집(전자민원사이트)을 이용하여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이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저작권 침해 등에 해당되는 경우
관계 법령 및 이용약관에 따라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